[일반화학] Chapter 4 -(1)

2025. 3. 14. 18:28·🏫 한동대학교/일반화학
728x90

4.1 General Properties of Aqueous Solutions

: 수용액(solution)의 일반적인 특성

[1] Solutions

1) 종류

  • solution(용액) : 두 가지 이상의 물질(substance)가 균일하게 섞인 혼합물(homogenous mixture)이다.
    • ex) 예를 들어 설탕물은 물과 설탕이 섞여서 만든 용액
  • solute(용질) : 소량으로 존재하는 물질(substance)
    • ex) 설탕물의 경우, 설탕이 용질
    • 용질은 용매에 의해 녹아서 용액을 만든다.
  • solvent(용매) : 더 많은 양으로 존재하는 물질(substance)
    • ex) 설탕물의 경우, 물이 용매

[2-1] Electrolytes

1) 전해질 & 비전해질

  • electrolyte(전해질) : 물에 녹으면,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용액이 되는 물질(substance)
  • nonelectrolyte(비전해질) : 물에 녹으면, 전기가 통하지 않는 용액을 만드는 물질(substance)

2) 강도에 따른 전해질

  • Nonelectrolyte : 전기를 전도하지 않음 (설탕).
  • Weak Electrolyte : 전기를 약하게 전도함 (아세트산).
    S- trong Electrolyte : 전기를 강하게 전도함 (염화 나트륨).

[2-2] Electrolytes

0) Q. 용액(solution)에서 전기를 전도하지 않나요?

-> A. 양이온(cation)과 음이온(anion)이 있어야 한다. (용액에서 전기를 전도하려면 반드시 양이온(양전하)과 음이온(음전하) 같은 이온이 있어야 한다. 이 이온들이 전기를 운반하며 전도성을 부여한다.)

1) Strong Electrolyte (강한 전해질)

  • 강한 전해질은 물에 녹으면 완전히 이온화되어, 모든 분자가 이온으로 분리된다.
  • 예시 : NaCl(염화 나트륨)
  • 물에서 Na⁺(aq)와 Cl⁻(aq)로 완전히 분리됩니다.

2) Weak Electrolyte (약한 전해질):

  • 약한 전해질은 물에 녹아도 일부만 이온화된다.
  • 모든 분자가 이온으로 분리되지 않고, 대부분은 원래 형태를 유지한다.
  • 예시 : CH₃COOH(아세트산)
  • 물에서 CH₃COO⁻(aq)와 H⁺(aq)로 일부만 이온화된다.

3) 정리

: 강한 전해질은 물에서 완전히 분리되어 전기를 잘 전도하는 반면, 약한 전해질은 부분적으로만 분리되어 전도성이 약하다.

[2-3] Electrolytes

1) 아세트산의 이온화 (Ionization)

  • 가역 반응 (Reversible Reaction)

    • 화살표 (⇌)는 가역 반응을 나타낸다.
      (반응이 양방향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의미)
    • 즉, 아세트산이 물에서 부분적으로 이온화되어 CH₃COO⁻(aq)와 H⁺(aq)로 나뉘지만, 다시 CH₃COOH로 돌아갈 수 있다는 뜻이다.
  • 약한 전해질 (Weak Electrolyte)

    • 아세트산은 약한 전해질로 분류된다.
      (이는 물에 녹았을 때 완전히 이온화되지 않고 일부만 이온화된다는 의미이다)
    • 아세트산의 이온화가 불완전하다.
      • 즉, 모든 분자가 이온으로 분리되지 않고 상당수의 분자는 여전히 CH₃COOH 형태로 남아있기 때문이다.

2) 정리

: 정리하자면, 아세트산은 물에서 완전히 이온화되지 않고 일부는 이온화되고, 일부는 다시 원래 분자로 돌아가는 가역적인 약한 전해질이다.

[2-4] Electrolytes

0) Q. 비전해질(Nonelecrolyte)는 전기를 전도하지 않나요?

-> A. 비전해질의 용액(solution)에는 양이온(cation)과 음이온(anion)이 없어서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비전해질은 용액 속에서 이온을 생성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를 전도하지 않는다.)

1) 예시

2) 수용액의 용질 분류

  • H2SO4는 이온화 가능한 H+의 이온이 두 개 있지만, 그 중 하나만 완전히 이온화된다.
  • 순수한 물은 매우 약한 전해질이다.

[3] Hydration

1) Hydration (수화)

: 이온이 특정 방식으로 배열된 물 분자에 둘러싸여 있는 과정을 말한다.


2. Precipitation Reactions (침전 반응)

[1] Precipitation Reactions (침전 반응)

: 두 개의 용액이 섞였을 때, 그 결과로 고체 침전물이 생성되는 화학 반응을 의미한다.

1) Precipitate (침전)

: 용액(solution)에서 분리되는 불용성 고체(insoluble solid)

  • 불용성 고체 : 물에 녹지 않거나 매우 적게 녹는 고체를 의미한다.
    • 이 고체는 용매인 물과 섞일 때, 고체 상태로 남아 있으며 용액을 형성하지 않는다.

2) 예시 : PbI2 <요오드화납(II)>의 침전

  1. molecular equation (분자 방정식)
    : 반응물과 생성물을 분자 형태로 나타낸 방정식

-> Pb(NO₃)₂(aq) + 2NaI(aq) → PbI₂(s) + 2NaNO₃(aq)

  1. ionc equation (이온 방정식)
    : 수용액 상태의 화합물을 이온으로 분리하여 나타낸 방정식

-> Pb²⁺ + 2NO₃⁻ + 2Na⁺ + 2I⁻ → PbI₂(s) + 2Na⁺ + 2NO₃⁻

  1. net ionic equation (순 이온 방정식)
    : 실제로 반응에 참여하는 이온만을 나타낸 방정식

-> Pb²⁺ + 2I⁻ → PbI₂(s)

  1. Spectator ions (구경꾼 이온)
    : 반응에 직접 참여하지 않는 이온

-> Na⁺와 NO₃⁻

  • 사진으로 보는 모습

[2] Solubility (용해도)

: 특정 온도에서 주어진 양의 용매에 용해되는 용질의 최대양을 의미한다.
-> 온도와 용매의 양이 용해도에 영향을 미친다.

1) 25°C의 물에서 일반적인 이온 화합물에 대한 용해도 규칙

: 이 표는 화학자들이 화합물의 용해도를 빠르게 예측하는 데 사용하는 일반적인 규칙을 제공하며,예외 사항들은 일반 규칙에 맞지 않는 특별한 경우를 나타낸다.
-> 이러한 규칙은 화학 반응, 특히 침전 반응을 예측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 수용성 화합물 (Soluble Compounds):

    • 알칼리 금속 이온(Li⁺, Na⁺, K⁺, Rb⁺, Cs⁺)을 포함한 화합물
    • 암모늄 이온(NH₄⁺)을 포함한 화합물
    • 질산염(NO₃⁻), 아세트산염(CH₃COO⁻), 중탄산염(HCO₃⁻), 염소산염(ClO₃⁻), 과염소산염(ClO₄⁻)
    • 할로겐화물(Cl⁻, Br⁻, I⁻)
    • 황산염(SO₄²⁻)
  • 불용성 예외 (Insoluble Exceptions):

    • Ag⁺, Hg₂²⁺, Pb²⁺의 할로겐화물
    • Ag⁺, Ca²⁺, Sr²⁺, Ba²⁺, Hg²⁺, Pb²⁺의 황산염
  • 불용성 화합물 (Insoluble Compounds):

    • 탄산염(CO₃²⁻), 인산염(PO₄³⁻), 크로메이트(CrO₄²⁻), 황화물(S²⁻)
      수산화물(OH⁻)
  • 수용성 예외 (Soluble Exceptions):

    • 알칼리 금속 이온과 암모늄 이온을 포함한 화합물
    • Ba²⁺ 이온을 포함한 화합물

2) 표로 보는 부분

  • 수용성 화합물 (Soluble Compounds):
    • 알칼리 금속 이온 (Li⁺, Na⁺, K⁺, Rb⁺, Cs⁺)
    • 암모늄 이온 (NH₄⁺)
    • 질산염 (NO₃⁻)
    • 아세트산염 (CH₃COO⁻)
    • 중탄산염 (HCO₃⁻)
    • 염소산염 (ClO₃⁻)
    • 과염소산염 (ClO₄⁻)
    • 할로겐화물 (Cl⁻, Br⁻, I⁻)
    • 황산염 (SO₄²⁻)
  • 불용성 예외 (Insoluble Exceptions):
    • Ag⁺, Hg₂²⁺, Pb²⁺의 할로겐화물
    • Ag⁺, Ca²⁺, Sr²⁺, Ba²⁺, Hg²⁺, Pb²⁺의 황산염
  • 불용성 화합물 (Insoluble Compounds):
    • 탄산염 (CO₃²⁻)
    • 인산염 (PO₄³⁻)
    • 크로메이트 (CrO₄²⁻)
    • 황화물 (S²⁻)
    • 수산화물 (OH⁻)
  • 수용성 예외 (Soluble Exceptions):
    • 알칼리 금속 이온을 포함한 화합물
    • 암모늄 이온을 포함한 화합물
    • Ba²⁺ 이온을 포함한 화합물

3) Insoluble Compounds의 예시


728x90

'🏫 한동대학교 >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화학] Chapter 4 - (3)  (0) 2025.03.14
[일반화학] Chapter 4 -(2)  (0) 2025.03.14
[일반화학] Chapter 3 - (4)  (0) 2025.03.14
[일반화학] Chapter 3 - (3)  (0) 2025.03.14
[일반 화학] Chapter 3 -(2)  (0) 2025.03.14
'🏫 한동대학교/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반화학] Chapter 4 - (3)
  • [일반화학] Chapter 4 -(2)
  • [일반화학] Chapter 3 - (4)
  • [일반화학] Chapter 3 - (3)
pangil_kim
pangil_kim
기록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합니다.
    250x250
  • pangil_kim
    멈추지 않는 기록
    pangil_kim
  • 전체
    오늘
    어제
  • 📝 글쓰기
      ⚙️ 관리

    • 분류 전체보기 (526) N
      • 💻 개발 (119)
        • ※ 참고 지식 (5)
        • 📀 MySQL (24)
        • 🌸 Spring Boot (5)
        • 🟩 Node.js (7)
        • 🦕 React (6)
        • 🎩 Next.js (25)
        • 📘 TypeScript (4)
        • 🌈 CSS (4)
        • 🌀 Dart (2)
        • 🧑🏻‍💻 코테 (25)
        • 🕸️ 알고리즘 (3)
        • 🩵 Flutter (9)
      • 📽️ 프로젝트 (5)
        • 캡스톤디자인2 (5)
      • ✍🏻 회고 (8)
      • 📰 정보 공유 (12)
      • 🏫 한동대학교 (146) N
        • Database (15)
        • Software Engineering (18)
        • EAP (22)
        • 일반화학 (26)
        • 25-1 수업 정리 (19)
        • Computer Networking (36)
        • OPIc (2)
        • 클라우드 컴퓨팅 (4) N
        • 미술의 이해 (4) N
      • 🧎🏻 묵상 (123) N
        • ⛪️ 설교 (38) N
        • 🙏 QT(날솟샘) (84) N
      • 🎶 찬양 (107) N
        • 어노인팅 (97) N
        • GIFTED (1)
        • LEVISTANCE (1)
        • 마커스 (3)
        • 아이자야 씩스티원 (1)
        • FIA 워십 (3)
  • 최근 글

  • 인기 글

  • 태그

    프론트엔드
    날마다 솟는 샘물
    글로벌리더십학부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typeScript
    한동대학교
    FE
    전산전자공학부
    유태준교수님
    QT
    CCM
    GLS
    어노인팅
    데이터베이스
    설교
    컴네
    Database
    일반화학
    찬양
    csee
    주일
    예배
    네트워킹
    웹개발
    날솟샘
    SQL
    고윤민교수님
    묵상
    화학
    CHEMISTRY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pangil_kim
[일반화학] Chapter 4 -(1)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