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 화학] Chapter 7 - (5)

2025. 3. 16. 21:43·🏫 한동대학교/일반화학
728x90

일자 : 24-2 13주차 2차시

7.8 전자 배치 (Electron Configuration)

[1] 전자 배치 (Electron Configuration)

  • 전자 배치 (Electron Configuration)란 원자의 전자가 다양한 원자 오비탈(atomic orbital)에 어떻게 분포되어 있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1) 표현 방식

1s¹의 구성 요소:

  • 1 : 주양자수(principal quantum number, n)를 나타낸다. 이는 오비탈의 에너지 수준을 의미한다.
  • s : 각운동량 양자수(angular momentum quantum number, ℓ)를 나타낸다. 이는 오비탈의 형태를 결정하며, s는 ℓ=0을 의미한다.
  • ¹ : 해당 오비탈 또는 부분 껍질(subshell)에 있는 전자의 수 를 나타낸다.

2) 오비탈 다이어그램 (Orbital Diagram)

  • 오비탈 다이어그램은 원자의 전자 스핀 방향을 명확히 보여주기 위해 사용된다.
  • 각 오비탈은 두 전자까지 수용 가능하며, 파울리 배타 원리(Pauli Exclusion Principle)에 따라 하나는 스핀 +1/2, 다른 하나는 스핀 -1/2 상태여야 한다.

  • 수소 원자(H)의 경우 오비탈 다이어그램은 상자 안에 화살표로 전자의 방향을 나타낸다.
    • 상자: 오비탈을 나타낸다.
    • 위쪽 화살표(↑): 전자가 스핀 양자수(spin quantum number)가 +1/2인 상태임을 의미한다.
    • 1s¹: 수소의 전자는 가장 낮은 에너지 수준인 1s 오비탈에 하나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2] Paramagnetism and Diamagnetism

  1. Paramagnetic unpaired electrons
    • 상자성(Paramagnetism)은 전자가 짝을 이루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 즉, 전자가 쌍을 지어있지 않고 홀로 존재하는 경우이다.
  2. Diamagnetic all electrons paired
    • 반자성(Diamagnetism)은 모든 전자가 쌍을 이루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 전자들이 모두 짝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7.9 전자 배치의 원리 (The Building-Up Principle)

[1] 바닥 상태 전자 배치 (Ground State Electron Configurations)

1) 원소들의 바닥 상태 전자 배치

  • 전자는 에너지 준위가 낮은 오비탈부터 높은 오비탈로 채워지며, 채우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s -> p -> d**
    • s 오비탈: 전자는 0과 1로 표현된다. (최대 2개 수용)
    • p 오비탈: 전자는 0, 1, 2로 표현된다. (최대 6개 수용)
    • d 오비탈: 전자는 0, 1, 2, 3, 4로 표현된다. (최대 10개 수용)

[2] 전자가 채워지는 가장 바깥 부분 껍질 (Outermost Subshell Being Filled with Electrons)

  • 주기율표에서 각 원소의 위치는 가장 바깥쪽에 전자가 채워지고 있는 부분 껍질에 따라 결정된다.
    • 예를 들어:
      • s 껍질: 주기율표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족에 해당하며, 최대 2개의 전자가 채워진다.
      • p 껍질: 세 번째에서 여섯 번째 족에 해당하며, 최대 6개의 전자가 채워진다.
      • d 껍질: 전이금속 원소들에 해당하며, 최대 10개의 전자가 채워진다.
  • 1s < 2s < 2p < 3s < 3p < 4s, 3d < 4p < 5s < 4d < 5p < 6s

1) 추가 설명

  • 오프바우 원리(Aufbau Principle)에 따르면 전자는 에너지가 낮은 오비탈부터 높은 오비탈로 순차적으로 채워진다.
  • 헌드의 규칙(Hund's Rule)은 동일한 에너지의 오비탈에 전자가 배치될 때, 가능한 한 전자가 홀로 분리되어 채워지게 한다는 원리를 설명한다.
  • 이 배치 과정은 원자의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결합 특성을 예측하는 데 필수적이다.
728x90

'🏫 한동대학교 >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화학] Chapter 8 -(2)  (0) 2025.03.16
[일반 화학] Chapter 8 - (1)  (0) 2025.03.16
[일반화학] Chatper7 - (4)  (0) 2025.03.16
[일반화학] Chatper7 - (3)  (0) 2025.03.16
[일반화학] Chapter7 - (2)  (0) 2025.03.16
'🏫 한동대학교/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반 화학] Chapter 8 -(2)
  • [일반 화학] Chapter 8 - (1)
  • [일반화학] Chatper7 - (4)
  • [일반화학] Chatper7 - (3)
pangil_kim
pangil_kim
기록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합니다.
    250x250
  • pangil_kim
    멈추지 않는 기록
    pangil_kim
  • 전체
    오늘
    어제
  • 📝 글쓰기
      ⚙️ 관리

    • 분류 전체보기 (508) N
      • 💻 개발 (119) N
        • ※ 참고 지식 (5)
        • 📀 MySQL (24)
        • 🌸 Spring Boot (5)
        • 🟩 Node.js (7)
        • 🦕 React (6)
        • 🎩 Next.js (25)
        • 📘 TypeScript (4)
        • 🌈 CSS (4)
        • 🌀 Dart (2)
        • 🧑🏻‍💻 코테 (25)
        • 🕸️ 알고리즘 (3)
        • 🩵 Flutter (9) N
      • 📽️ 프로젝트 (5)
        • 캡스톤디자인2 (5)
      • ✍🏻 회고 (8)
      • 📰 정보 공유 (12)
      • 🏫 한동대학교 (143) N
        • Database (15)
        • Software Engineering (18)
        • EAP (22)
        • 일반화학 (26)
        • 25-1 수업 정리 (19)
        • Computer Networking (36)
        • OPIc (2)
        • 클라우드 컴퓨팅 (3) N
        • 미술의 이해 (2) N
      • 🧎🏻 묵상 (116) N
        • ⛪️ 설교 (36) N
        • 🙏 QT(날솟샘) (79) N
      • 🎶 찬양 (100) N
        • 어노인팅 (90) N
        • GIFTED (1)
        • LEVISTANCE (1)
        • 마커스 (3)
        • 아이자야 씩스티원 (1)
        • FIA 워십 (3)
  • 최근 글

  • 인기 글

  • 태그

    SQL
    일반화학
    예배
    csee
    웹개발
    날솟샘
    CCM
    QT
    CHEMISTRY
    글로벌리더십학부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FE
    데이터베이스
    날마다 솟는 샘물
    컴네
    설교
    묵상
    전산전자공학부
    고윤민교수님
    Database
    화학
    유태준교수님
    주일
    네트워킹
    어노인팅
    GLS
    typeScript
    프론트엔드
    한동대학교
    찬양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pangil_kim
[일반 화학] Chapter 7 - (5)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