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학] Chatper7 - (4)

2025. 3. 16. 21:43·🏫 한동대학교/일반화학
728x90

일자 : 24-2 13주차 1차시

7.7 원자 오비탈

[1] 양자수와 원자 오비탈

1) 정의

  • 양자수 (Quantum Numbers) : 양자수는 원자 내 전자의 상태를 설명하는 숫자
    • 전자가 특정 에너지 상태에 있을 때의 위치와 에너지 등을 정의한다.
  • 원자 오비탈 : 전자가 원자핵 주변에서 발견될 확률이 높은 공간
    • 각 오비탈은 고유한 모양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으며, 양자수에 의해 정의된다.

2) 양자수와 원자 오비탈의 관계

  1. n (주양자수, Principal Quantum Number)
    • 전자의 에너지 수준과 전자껍질(shell)을 나타냄.
    • 값: 양의 정수 $n = 1, 2, 3, \dots$.
    • $n$이 클수록 전자의 에너지가 높아지고 원자핵에서 멀어짐.
  2. $e$ (부양자수, Azimuthal Quantum Number, $l$)
    • 오비탈의 모양을 결정.
    • 값: $l = 0$부터 $n-1$까지의 정수.
    • 오비탈 종류:
      • $l = 0$: s 오비탈 (구형)
      • $l = 1$: p 오비탈 (아령형)
      • $l = 2$: d 오비탈
      • $l = 3$: f 오비탈
  3. $m_e$ (자기양자수, Magnetic Quantum Number)
    • 오비탈의 공간적 방향을 나타냄.
    • 값: $-l$에서 $+l$까지의 정수.
      • 예: $l = 1$이면, $m_e = -1, 0, +1$.
  4. Number of Orbitals
    • 각 주양자수 $n$에 대해 존재하는 오비탈의 총 개수.
    • 공식: $n^2$.
      • 예: $n = 2$일 때, 오비탈 개수는 $2^2 = 4$.
  5. Atomic Orbital Designations
    • 오비탈의 이름을 양자수에 따라 지정.
    • 예:
      • $n = 1, l = 0$: 1s
      • $n = 2, l = 0$: 2s
      • $n = 2, l = 1$: 2p
      • $n = 3, l = 2$: 3d

[2] 확률 밀도

  • 전자 밀도의 90%가 발견되는 영역
  • 1s 오비탈의 경우

1) 정의

  1. 확률 밀도의 정의
    • 확률 밀도는 전자가 특정 위치에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는 양이다.
    • 슈뢰딩거 방정식의 해를 통해 얻은 파동 함수 $\psi$의 제곱 $|\psi|^2$이 확률 밀도를 나타낸다.
  2. 전자 밀도와 90% 영역
    • 원자 오비탈 내에서 전자의 위치를 정확히 특정할 수 없으므로, 전자가 발견될 확률이 90% 이상인 영역을 정의한다.
    • 이 90% 확률 영역은 원자 오비탈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3] 원자 오비탈

1) $l = 0$ (s 오비탈)

  • $l$ 값이 0일 때, 원자 오비탈은 구형 대칭을 가지며 이를 s 오비탈이라 부른다.
  • s 오비탈은 모든 방향에서 대칭적인 구조로, 원자핵을 중심으로 전자 구름이 퍼져 있는 형태이다.

설명:
s 오비탈은 가장 단순한 형태로, $1s$, $2s$, $3s$와 같이 주양자수($n$)에 따라 크기만 달라지며 구형 대칭을 유지한다. 이는 원자핵에 가까운 영역에서 전자 밀도가 가장 높고, 핵에서 멀어질수록 밀도가 감소한다.

2) $l = 1$ (p 오비탈)

  • $l$ 값이 1일 때, p 오비탈이라 하며, 두 개의 뚜렷한 "엽(lobe)"을 가진 형태로 나타난다.
  • p 오비탈은 $x$, $y$, $z$ 축을 기준으로 3가지 방향성($p_x$, $p_y$, $p_z$)을 가진다.

설명:
p 오비탈의 구조는 특정 축을 중심으로 대칭적이며, 전자는 두 엽에 걸쳐 분포한다. 이로 인해 원자 내 화학 결합 시 방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분자의 형태와 결합각에 영향을 준다.

3) $l = 2$ (d 오비탈)

  • $l$ 값이 2일 때는 d 오비탈이라 하며, 더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 4개의 엽이 있는 "클로버" 모양과 고리 구조를 포함한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공간에서 5가지 방향성을 가진다.

설명:
d 오비탈은 화학적으로 다전자 원자의 전자 배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전이 금속 원소의 특성(예: 착화합물의 색과 자기적 성질)은 d 오비탈의 전자 배치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4] 오비탈의 방향성

1) $m_l = -1, 0, 1$

  • 자기 양자수($m_l$)가 $-1$, $0$, $1$일 경우, 오비탈은 3가지 방향을 가진다.
  • 이는 주로 p 오비탈에 해당하며, $p_x$, $p_y$, $p_z$와 같이 공간에서의 특정 방향으로 정의된다.

설명:
p 오비탈의 방향성은 원자가 결합 시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탄소 원자의 4개의 p 오비탈이 혼성화될 경우 사면체 구조를 형성하여 화학적 안정성을 제공한다.

2) $m_l = -2, -1, 0, 1, 2$

  • 자기 양자수($m_l$)가 $-2$, $-1$, $0$, $1$, $2$일 경우, 오비탈은 5가지 방향을 가진다.
  • 이는 d 오비탈에 해당하며, 공간에서의 다양한 대칭 구조와 방향성을 나타낸다.

설명:
d 오비탈의 방향성은 전이 금속과 리간드 사이의 결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리간드의 전자 구름이 특정 방향의 d 오비탈과 상호작용하여 결합이 형성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착화합물의 색, 자기적 특성, 촉매 작용 등에 기여한다.

[5] 슈뢰딩거 파동 함수

1) 양자수: ($n, l, m_l, m_s$)

  • 전자가 원자 내에서 존재하고 그 에너지를 가지는 방식은 고유한 파동 함수(ψ)로 기술된다.
  • 파울리 배타 원리에 따르면, 한 원자 내에서 두 전자가 동일한 네 가지 양자수를 가질 수 없다.
    (이 원리가 없다면 물질은 존재할 수 없다!)

2) 껍질, 부껍질, 오비탈

  • 껍질(shell): 같은 주양자수($n$)를 가지는 전자들의 집합.
  • 부껍질(subshell): 같은 주양자수($n$)와 각운동량 양자수($l$)를 가지는 전자들의 집합.
  • 오비탈(orbital): 같은 $n$, $l$, $m_l$ 값을 가지는 전자들.

설명:
파동 함수는 전자의 위치 확률 밀도를 기술하며, 양자수는 전자의 에너지 상태와 공간 분포를 정의하는 데 사용된다. 파울리 배타 원리는 전자 배치 규칙과 화학적 안정성의 근본적인 기초가 된다.

[6-1] 단전자 원자에서의 오비탈 에너지

1) 에너지는 주양자수($n$)에만 의존한다.

설명:
수소 원자처럼 단전자 시스템에서는 오비탈의 에너지가 $n$ 값에만 의존하며, $l$ 값의 차이는 없다. 따라서 $2s$와 $2p$의 에너지는 동일하다.

[6-2] 다전자 원자에서의 오비탈 에너지

1) 에너지는 $n$과 $l$에 의존한다.

설명:
다전자 원자에서는 전자 간 반발로 인해 같은 $n$ 값을 가지더라도 $l$ 값에 따라 에너지가 달라진다. $s$ 오비탈의 에너지는 $p$, $d$, $f$ 오비탈보다 낮으며, 이는 전자 배치와 화학적 성질에 영향을 준다.

[7] Aufbau 원리

  • 전자는 에너지가 낮은 오비탈부터 차례로 채워진다.

설명:
Aufbau 원리는 전자 배치의 기본 원칙으로, 화학 원소의 주기적 성질을 설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낮은 에너지를 선호하는 경향은 원자의 안정성을 높인다.

[8] 훈트의 규칙

  • 가장 안정한 전자 배치는 같은 부껍질 내에서 가능한 한 많은 전자들이 평행 스핀을 가지는 경우이다.

설명:
훈트의 규칙은 전자 간의 반발을 최소화하여 원자의 에너지를 낮춘다. 예를 들어, $p$ 오비탈에서 세 전자가 각각 다른 오비탈($p_x$, $p_y$, $p_z$)에 배치되며 동일한 스핀을 가지는 경우 에너지가 가장 낮다.

[9] 다전자 원자의 오비탈 채움 순서

  • $1s < 2s < 2p < 3s < 3p < 4s < 3d < 4p < 5s < 4d < 5p < 6s$

설명:
오비탈의 채움 순서는 에너지 수준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주기율표의 구조와 원소의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4s$ 오비탈이 $3d$보다 먼저 채워지는 것은 전자의 상호작용과 에너지 최적화의 결과이다.


728x90

'🏫 한동대학교 > 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 화학] Chapter 8 - (1)  (0) 2025.03.16
[일반 화학] Chapter 7 - (5)  (0) 2025.03.16
[일반화학] Chatper7 - (3)  (0) 2025.03.16
[일반화학] Chapter7 - (2)  (0) 2025.03.16
[일반화학] Chapter7 - (1)  (0) 2025.03.16
'🏫 한동대학교/일반화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일반 화학] Chapter 8 - (1)
  • [일반 화학] Chapter 7 - (5)
  • [일반화학] Chatper7 - (3)
  • [일반화학] Chapter7 - (2)
pangil_kim
pangil_kim
기록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합니다.
    250x250
  • pangil_kim
    멈추지 않는 기록
    pangil_kim
  • 전체
    오늘
    어제
  • 📝 글쓰기
      ⚙️ 관리

    • 분류 전체보기 (321) N
      • 💻 개발 (130) N
        • ※ 참고 지식 (7)
        • 📀 MySQL (24)
        • 🌸 Spring Boot (5)
        • 🟩 Node.js (7)
        • 🦕 React (6)
        • 🎩 Next.js (25)
        • 📘 TypeScript (4)
        • 🌈 CSS (4)
        • 🌀 Dart (2)
        • 🧑🏻‍💻 코테 (25)
        • 🕸️ 알고리즘 (4)
        • 🩵 Flutter (9)
        • 📒 JavaScript (6) N
        • 🗒️ 정보처리기사 -실기 (1)
        • 🔸Git (1)
      • 📽️ 프로젝트 (5)
        • 캡스톤디자인2 (5)
      • ✍🏻 회고 (12)
        • 우테코 (4)
      • 📰 정보 공유 (12)
      • 🏫 한동대학교 (155) N
        • Database (15)
        • Software Engineering (18)
        • EAP (22)
        • 일반화학 (26)
        • 25-1 수업 정리 (19)
        • Computer Networking (36)
        • OPIc (2)
        • 클라우드 컴퓨팅 (4)
        • 미술의 이해 (13) N
  • 최근 글

  • 인기 글

  • 태그

    프론트엔드
    CHEMISTRY
    csee
    찬양
    설교
    유태준교수님
    웹개발
    데이터베이스
    CCM
    Database
    전산전자공학부
    컴네
    어노인팅
    묵상
    한동대학교
    GLS
    FE
    날마다 솟는 샘물
    QT
    화학
    날솟샘
    네트워킹
    일반화학
    고윤민교수님
    SQL
    주일
    예배
    computer networks and the internet
    typeScript
    글로벌리더십학부
  • 최근 댓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4
pangil_kim
[일반화학] Chatper7 - (4)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