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250x250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FE
- 웹개발
- CCM
- 날솟샘
- typeScript
- 일반화학
- CHEMISTRY
- csee
- 혼자공부하는sql
- 묵상
- dbms
- 남재창교수님
- 설교
- QT
- 찬양
- 글로벌리더십학부
- GLS
- 날마다 솟는 샘물
- 예배
- 전산전자공학부
- SQL
- Database
- 유태준교수님
- 한동대학교
- Software Engineering
- 화학
- 어노인팅
- 프론트엔드
- SQLD
- 데이터베이스
Archives
- Today
- Total
멈추지 않는 기록
[EAP] 6주차 1차시 본문
728x90
Week 1 - EAP, LEADERSHIP FOUNDATIONS
1주차 - EAP
리더십의 기초
- WEEK1
Different leaders from the Bible
성경 속 다양한 리더들 - Contemporary thoughts and quotes on leadership
현대 리더십에 대한 생각과 인용문들
Readings
- Read and reflect on leadership as you read the following
다음 내용을 읽으며 리더십에 대해 묵상하라 - Psalm 78:70–72
시편 78:70~72 - I Samuel 9–17 (think about the differences between David and Saul)
사무엘상 9장~17장 (다윗과 사울의 차이를 생각해보라) - Daniel
다니엘 - Esther
에스더 - Mark 10:32–45
마가복음 10:32~45 - Read and reflect on: Practicing Greatness, Forward - Introduction (up to page 8)
Practicing Greatness 서문~8쪽까지 읽고 묵상하라
[1] Different leaders from the Bible
성경 속 다양한 리더들
Saul as a leader
리더로서의 사울
- God’s call often happens when we are faithfully about our day to day business.
하나님의 부르심은 우리가 일상에 충실할 때 종종 일어난다. - What was Saul doing when he received God’s call?
사울이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았을 때 그는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Saul was looking for his father’s donkeys; he was not looking to be king.
사울은 아버지의 나귀를 찾고 있었고, 왕이 되려고 했던 것은 아니었다.
- Saul was looking for his father’s donkeys; he was not looking to be king.
- What is your day to day business?
당신의 일상은 무엇인가?
- Most Christian leaders start out connected to God, however, not all stay there!
대부분의 기독교 리더들은 하나님과 연결된 상태로 시작하지만, 모두가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 Saul started well.
사울은 좋은 시작을 했다.- He had a supernatural experience and God changed his heart.
그는 초자연적인 경험을 했고, 하나님께서 그의 마음을 변화시키셨다. - However, as time progressed, he was less concerned about obeying God and more concerned about what others thought.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그는 하나님의 뜻보다 사람들의 시선을 더 의식하게 되었다.
- He had a supernatural experience and God changed his heart.
- It is very easy to allow the pressures of leadership take us away from our focus.
리더십의 압박은 우리의 초점을 쉽게 흐릴 수 있다.
- How we respond to failure tells us a lot about who we are.
실패에 대한 우리의 반응은 우리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를 잘 보여준다. - When David was experiencing more success on the battlefield than Saul, Saul did not empower David to continue in success – rather, he became jealous and fought to keep his power.
다윗이 사울보다 전쟁에서 더 큰 성공을 거둘 때, 사울은 다윗이 계속 성공하도록 도와주지 않았고, 오히려 질투하며 자신의 권력을 유지하려 했다.
- How we treat those around (under) us tells us a lot about who we are.
우리가 주변 사람들(혹은 우리 아래에 있는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는지도 우리를 잘 드러낸다.- Saul did not know David’s name after David killed Goliath.
다윗이 골리앗을 죽였음에도 불구하고, 사울은 그의 이름을 알지 못했다. - Before David fought Goliath, Saul offered his armor to him – yet he didn’t know his name.
다윗이 골리앗과 싸우기 전 사울은 자신의 갑옷을 주려 했지만, 그의 이름도 몰랐다.
- Saul did not know David’s name after David killed Goliath.
- Our decisions impact others, including those we most love.
우리의 결정은 우리가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 Saul’s hatred for David impacted his own son, Jonathan (1 Samuel 20:30-31)
사울이 다윗을 미워한 것은 그의 아들 요나단에게까지 영향을 주었다 (사무엘상 20:30-31)
David as a leader
리더로서의 다윗
- God’s call often happens when we are faithfully going about our day to day business.
하나님의 부르심은 우리가 일상에 성실할 때 종종 찾아온다. - David was taking care of sheep which was not a prestigious job – David was faithful in doing this.
다윗은 명예롭지 않은 일인 양치기를 하고 있었지만, 그 일에 충실했다.
- God’s criteria for leadership is considerably different than humanity’s.
하나님께서 보시는 리더의 기준은 사람의 기준과 매우 다르다. - 1 Samuel 16:6
사무엘상 16장 6절 - “…Samuel saw Eliab and thought, ‘Surely the Lord’s anointed stands here before the Lord.’”
“…사무엘이 엘리압을 보고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실 자가 틀림없이 이 사람이다’라고 생각하였다.”- Eliab, David’s brother, must have been tall with handsome features – features that many would think be suitable for a leader.
엘리압은 키가 크고 잘생긴 외모를 가진 사람으로, 많은 이들이 리더로 적합하다고 생각할 만한 외모였다. - However, God said “Do not consider his appearance or his height, for I have rejected him.
그러나 하나님은 말씀하셨다: “그의 외모나 키를 보지 말라. 나는 그를 이미 버렸다.
- Eliab, David’s brother, must have been tall with handsome features – features that many would think be suitable for a leader.
- The Lord does not look at the things people look at.
여호와는 사람이 보는 것처럼 보지 않는다.- 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1 Samuel 16:7)
사람은 외모를 보지만, 여호와는 중심을 보신다.” (사무엘상 16:7)
- People look at the outward appearance, but the Lord looks at the heart.” (1 Samuel 16:7)
- Our character comes to the forefront during challenging times.
우리의 인격은 어려운 상황에서 드러난다. - Eliab criticized David for asking questions to other soldiers
엘리압은 다윗이 군인들에게 질문을 하자 그를 비난했다.- “When Eliab, David’s oldest brother, heard him speaking with the men, he burned with anger at him and asked,
“다윗의 맏형 엘리압이 그가 군인들과 말하는 것을 듣고 화를 내며 말했다, - ‘Why have you come down here?
‘네가 여기 왜 왔느냐? - And with whom did you leave those few sheep in the wilderness?
광야에 있는 양들은 누구에게 맡겼느냐? - I know how conceited you are and how wicked your heart is; you came down only to watch the battle.’” (1 Samuel 17:28)
나는 네 교만함과 악한 마음을 안다. 너는 전투를 구경하러 왔을 뿐이다.” (사무엘상 17:28)
- “When Eliab, David’s oldest brother, heard him speaking with the men, he burned with anger at him and asked,
- When Goliath was taunting the Israelites, you would think Eliab would be the one to attack him but it was David.
골리앗이 이스라엘을 모욕할 때, 공격할 사람은 엘리압이어야 했지만 실제로는 다윗이었다.- David saw God’s faithfulness in his shepherding and knew God would be faithful as he fought Goliath.
다윗은 목동 시절에 경험한 하나님의 신실하심을 기억했고, 골리앗과의 싸움에서도 하나님께서 신실하게 함께하실 것을 확신했다.
- David saw God’s faithfulness in his shepherding and knew God would be faithful as he fought Goliath.
- How we respond to failure tells us a lot about who we are.
실패에 대한 우리의 태도는 우리 자신을 잘 보여준다.- When David was confronted by Nathan the prophet about his sin with Bathsheba, he was repentant – David responded with great humility (Psalm 51).
다윗이 밧세바와의 죄로 나단 선지자에게 지적을 받았을 때, 그는 회개했고, 매우 겸손한 자세로 반응했다 (시편 51편).
- When David was confronted by Nathan the prophet about his sin with Bathsheba, he was repentant – David responded with great humility (Psalm 51).
- Also, with us, we should be willing to admit failure
우리 또한 실패를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 How we treat those around us tell us a lot about who we are.
우리가 주변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는지는 우리 인격을 드러낸다.- David’s relationship with Jonathan showed how David treated people.
요나단과의 관계는 다윗이 사람들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보여준다. - Also, with David’s good attitude towards Saul even though Saul was trying to kill him.
또한, 자신을 죽이려 했던 사울에 대해서도 다윗은 선한 태도를 유지했다.
- David’s relationship with Jonathan showed how David treated people.
- Our decisions impact others, including those we love.
우리의 결정은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Later in David’s life we see instances where he could have been a better parent (Amnon & Tamar)
다윗의 말년에는 자녀(암논과 다말)와 관련하여 더 나은 부모가 되었어야 할 순간들이 있었다.
- Later in David’s life we see instances where he could have been a better parent (Amnon & Tamar)
Daniel as a leader
리더로서의 다니엘
- Grow where you are planted.
심어진 곳에서 자라라.- Daniel and his friends served faithfully in a place they did not want to be but never said, “This is not where I want to be.”
다니엘과 친구들은 원하지 않는 장소에서 충실히 섬겼으며, “여기는 내가 있고 싶은 곳이 아니다”라고 불평하지 않았다.
- Daniel and his friends served faithfully in a place they did not want to be but never said, “This is not where I want to be.”
- All of us at some point in our lives will find ourselves in place we do not want to be or work – but we need to choose to be faithful and serve there.
우리 모두는 인생에서 언젠가 원치 않는 장소나 환경에 처하게 되지만, 그곳에서도 충실히 섬기기로 선택해야 한다. - This takes humility and faith – God can and will choose the humblest.
이것은 겸손과 믿음을 요구한다 – 하나님은 가장 겸손한 자를 택하시고 사용하신다.
- Don’t be clean… be really clean.
겉으로만 깨끗하지 말고, 진정으로 깨끗하라.- When other government administrators were jealous of Daniel, the only bad thing they could find out about him was that he prayed too much.
다른 고위 관리들이 다니엘을 질투했을 때, 그들이 발견한 유일한 흠은 그가 기도를 너무 많이 한다는 것이었다. - Daniel was excellent with his work ethic and had integrity.
다니엘은 뛰어난 직업 윤리와 정직함을 지녔다.
- When other government administrators were jealous of Daniel, the only bad thing they could find out about him was that he prayed too much.
- Represent God in pluralistic/multicultural situations.
다원적이고 다문화적인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을 대표하라. - Do not stay around the same people all the time.
항상 같은 사람들과만 함께 있지 말라. - Be eager to serve amongst people with different backgrounds and faith.
다른 배경과 신념을 가진 사람들 속에서도 기꺼이 섬기라. - We need to be faithful in pluralistic situations.
우리는 다양한 문화 속에서도 신실해야 한다.
- Faithfulness to God can get you into (and out of) trouble.
하나님께 대한 신실함은 때로 문제를 일으킬 수도, 해결할 수도 있다. - Being faithful to God does not guarantee physical protection.
하나님께 충실하다고 해서 육체적인 보호가 보장되지는 않는다. - History tells us that good Christians have died for their faith.
역사는 신실한 그리스도인들이 믿음으로 인해 죽임을 당한 사례를 보여준다. - Some people say that the safest place to be is in the center of God’s will.
어떤 사람들은 하나님의 뜻 안에 있는 것이 가장 안전한 곳이라고 말한다. - This is true in terms of eternal security but not necessarily true for keeping you physically safe.
이것은 영원한 안전이라는 측면에서는 맞지만, 육체적 안전까지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 Our number one priority should never be to seek maximum safety and comfort.
우리의 최우선 목표는 최대한의 안전과 편안함을 추구하는 것이 되어서는 안 된다.
Esther as a leader
리더로서의 에스더
- Esther is another story of Jewish life during the Babylonian exile – God’s people find themselves in unique circumstances.
에스더는 바벨론 포로기 동안 유대인의 삶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이야기이며, 하나님의 백성이 특별한 상황에 놓이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 This story teaches us that life as a believer is not always neat and clean.
이 이야기는 신앙인의 삶이 항상 깔끔하고 정돈되어 있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 You have to read between the lines in this story but what was life like for a woman in a harem serving as a concubine.
이야기의 행간을 읽어야 하는데, 궁중 후궁으로 살아간 여성의 삶은 어땠을까? - There has been debate about what exactly the morality of Esther in this context.
이 맥락 속에서 에스더의 도덕성에 대해서는 여러 논쟁이 있어왔다.
- Leadership takes courage and involves great personal risk.
리더십은 용기를 필요로 하며, 큰 개인적 위험을 동반한다. - Esther was willing to die for the sake of her people “If I perish, I perish.”
에스더는 자신의 민족을 위해 기꺼이 죽을 각오를 했으며, “내가 죽으면 죽으리이다”라고 말했다.
- Leaders have wise, godly council.
리더는 지혜롭고 경건한 조언자를 두고 있다. - Great leaders have those around them who will challenge and encourage them.
위대한 리더는 자신을 도전하게 하고 격려해줄 수 있는 사람들을 곁에 둔다. - Esther had Mordechai as a counselor
에스더에게는 모르드개가 조언자였다.
- Esther 4
에스더 4장 - ¹² When Esther’s words were reported to Mordecai,
에스더의 말이 모르드개에게 전해졌을 때, - ¹³ he sent back this answer: “Do not think that because you are in the king’s house you alone of all the Jews will escape.
그는 이렇게 응답하였다: “네가 왕궁에 있다고 해서 너만 유대인 중에 살아남을 것이라 생각하지 말라. - ¹⁴ For if you remain silent at this time, relief and deliverance for the Jews will arise from another place,
이때에 네가 잠잠하면, 유대인을 위한 구원과 구출은 다른 데서 일어나겠지만, - but you and your father’s family will perish.
너와 네 아버지의 집은 멸망하리라. - And who knows but that you have come to your royal position for such a time as this?”
그리고 누가 알겠느냐, 네가 바로 이때를 위하여 왕후의 자리에 오른 것인지도 모르지 않느냐?”
Jesus as a leader
리더로서의 예수님
- Mark 10
마가복음 10장- ⁴² Jesus called them together and said, “You know that those who are regarded as rulers of the Gentiles lord it over them, and their high officials exercise authority over them.
⁴² 예수께서 그들을 불러서 말씀하셨다, “너희가 알다시피 이방인의 집권자들은 그들을 다스리고, 그 고관들은 권세를 부린다. - ⁴³ Not so with you. Instead, whoever wants to become great among you must be your servant,
⁴³ 그러나 너희는 그렇지 않다. 너희 중에 누구든지 크고자 하는 자는 너희를 섬기는 자가 되어야 하고, - ⁴⁴ and whoever wants to be first must be slave of all.
⁴⁴ 누구든지 으뜸이 되고자 하는 자는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한다. - ⁴⁵ For even the Son of Man did not come to be served, but to serve, and to give his life as a ransom for many.”
⁴⁵ 인자도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니라 섬기러 왔으며, 많은 사람을 위해 자기 목숨을 대속물로 주려 함이라.”
- ⁴² Jesus called them together and said, “You know that those who are regarded as rulers of the Gentiles lord it over them, and their high officials exercise authority over them.
- Being a servant leader does not mean others are our masters.
섬기는 리더가 된다는 것은 다른 사람들이 우리의 주인이 된다는 뜻이 아니다. - Also, being a servant leader does not mean we use this as an excuse not to make hard decisions.
또한, 섬기는 리더라는 것이 어려운 결정을 회피하는 핑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 Serving others does mean we empower others to use their gifting (we will look more at this later).
다른 사람을 섬긴다는 것은 그들의 은사를 발휘할 수 있도록 권한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 부분은 나중에 더 다룰 것이다). - This means identifying others’ gift set and helping them operate in it.
이는 다른 사람들의 은사를 발견하고, 그것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뜻한다. - Romans 12
로마서 12장- ² Do not conform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en you will be able to test and approve what God’s will is—hi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²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 ² Do not conform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but be transformed by the renewing of your mind. Then you will be able to test and approve what God’s will is—his good, pleasing and perfect will.
- Read the following scriptures which support the next slide:
다음 슬라이드를 뒷받침하는 아래 성경 구절들을 읽어보라:- Ephesians 1:19–21
에베소서 1장 19~21절 - Ephesians 2:6
에베소서 2장 6절
- Ephesians 1:19–21
- Based on the above scriptures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위 성경 말씀들을 바탕으로 다음 질문에 답해보라:- Where is Jesus?
예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 - Where is the Christian?
그리스도인은 어디에 있는가? - What does this mean in terms of leadership?
이것은 리더십에 있어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Where is Jesus?
- Thinking about the life of Jesus (King of kings and Lord of lords) makes us rethink what leadership is and how authority works.
예수님의 삶(만왕의 왕, 만주의 주로서의 삶)을 생각해보면 리더십이란 무엇인지, 권위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다시 생각하게 된다. - Jesus has authority and it killed him. Again, this doesn’t mean others are your master – Jesus freely laid His life down.
예수님은 권위를 가지셨고, 그 권위는 결국 그분의 생명을 앗아갔다. 하지만 이것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의 주인이라는 뜻이 아니다 — 예수님은 자발적으로 생명을 내어주셨다. - Service means sacrifice. Think about when David stepped up to fight Goliath. He put his life on the line. When you are in charge, you will have to sacrifice yourself more.
섬김은 희생을 의미한다. 다윗이 골리앗과 싸우기 위해 나섰던 일을 생각해보라. 그는 자신의 생명을 걸었다. 책임을 지게 되면 더 많은 희생이 요구된다. - Leaders are a resource to be used for the good of others – shepherds are there for the sheep, not sheep for the shepherds.
리더는 다른 사람의 유익을 위해 사용되어야 할 자원이다 — 목자는 양을 위해 존재하지, 양이 목자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 Another important aspect of Jesus’ life is that he lived a life completely dependent on the Father. He woke up early and made sure he spent time alone with His Father and only did what He saw His Father doing.
예수님의 삶에서 또 다른 중요한 측면은, 그분이 아버지 하나님께 완전히 의존된 삶을 사셨다는 점이다. 예수님은 아침 일찍 일어나 아버지와 함께 시간을 보내며, 아버지께서 하시는 것을 보고 그대로 행하셨다. - This is a model for us. When we lead, we are not alone – God is with us but we have to live a life dependent on Him – Just as Jesus did.
이것은 우리에게 본이 된다. 우리가 리더가 될 때, 우리는 혼자가 아니다 —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시며, 우리는 예수님처럼 하나님께 의존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리더로서의 사울
항목 | 내용 |
부르심의 순간 | 사울은 왕이 되려 한 것이 아니라, 아버지의 나귀를 찾던 중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 |
시작은 좋았음 | 하나님께서 그의 마음을 변화시키셨고, 초자연적인 경험을 통해 리더십을 시작함 |
리더십의 변화 | 시간이 흐르며 하나님의 뜻보다 사람들의 시선을 더 의식하게 됨 |
실패 대응 방식 | 다윗의 성공에 질투하며, 다윗을 세우기보다 권력을 유지하려 함 |
주변 사람에 대한 태도 | 골리앗을 죽인 다윗의 이름조차 기억하지 못하고 무관심함 |
결정의 영향 | 다윗에 대한 증오가 아들 요나단에게까지 부정적 영향을 줌 |
리더로서의 다윗
항목 |
내용 |
부르심의 순간 | 다윗은 양치기라는 보잘것없는 일을 성실히 하던 중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음 |
리더의 기준 | 사람은 외모를 보지만 하나님은 중심(마음)을 보심 (사무엘상 16:7) |
도전 속 인격 | 엘리압에게 비난받았지만 흔들리지 않고 골리앗에게 맞섰음 |
신실하신 하나님에 대한 믿음 | 양을 지키는 일에서 하나님의 도우심을 경험했고, 골리앗 앞에서도 그 신실하심을 신뢰함 |
실패에 대한 태도 | 밧세바 사건 이후 나단의 책망을 겸손히 받아들이고 회개함 (시편 51편) |
사람 대하는 태도 | 요나단과의 우정, 사울에게도 끝까지 선하게 대함 |
결정의 영향 | 말년에 자녀 양육(암논과 다말)에서 아쉬움이 있었음 |
Daniel as a Leader (리더로서의 다니엘)
항목 |
내용 |
상황 수용과 충실함 | 원하지 않는 바벨론에서도 불평 없이 충실히 섬김 |
겸손과 정결함 | 기도 외에는 흠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정직하고 깨끗한 삶 |
다문화 환경에서의 리더십 | 다양한 배경 속 사람들과 어울리며 신앙과 정체성을 유지 |
신실함의 위험과 의미 | 신실함이 오히려 위기를 부르기도 하지만, 하나님이 함께하심 |
핵심 메시지 | ‘심어진 곳에서 자라라’, 진정한 신실함은 어떤 환경에서도 드러남 |
Esther as a Leader (리더로서의 에스더)
항목 | 내용 |
복잡한 상황 속 리더십 | 포로기의 궁중 후궁이라는 복잡한 위치 속에서 리더로 세워짐 |
용기와 결단 | “죽으면 죽으리이다”라는 말처럼 민족을 위한 결단과 희생 |
경건한 조언자 | 모르드개의 도전과 권면을 수용하여 리더십 발휘 |
시대적 사명 |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누가 아느냐”는 말씀처럼 하나님의 시간에 맞는 리더 |
핵심 메시지 | 리더십은 때로 위험하고 불완전한 현실 속에서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것 |
Jesus as a Leader (리더로서의 예수님)
항목 |
내용 |
리더십의 본질 | 예수님은 섬기기 위해 오셨고, 자신의 생명을 대속물로 내어주심 (마가복음 10:45) |
섬김의 의미 | 섬긴다는 것은 단순한 봉사가 아닌, 다른 사람의 은사를 발견하고 권한을 위임하는 것 |
희생과 결단 | 리더는 책임을 질수록 더 많은 희생을 감당해야 하며, 권위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닌 타인을 위한 것 |
영적 위치 | 에베소서 1, 2장에 따르면, 예수님은 하늘 보좌에 계시고, 우리(그리스도인)도 함께 그 자리에 있음 |
모범적인 삶 | 예수님은 하나님 아버지께 완전히 의존된 삶을 살았으며, 매일 시간을 구별하여 하나님과 교제하심 |
핵심 메시지 | 진정한 리더는 섬기고 희생하며, 타인의 성장과 유익을 위해 자신을 사용하는 존재이다 |
[2] Contemporary thoughts and quotes on leadership
현대 리더십에 대한 생각과 인용문들
스티브 잡스
- “Your time is limited, so don’t waste it living someone else’s life.
당신의 시간은 한정되어 있으니, 다른 사람의 삶을 사느라 낭비하지 마세요. - Don’t be trapped by dogma — which is living with the results of other people’s thinking.
다른 사람들의 생각의 결과에 따라 사는 것, 즉 교리에 갇히지 마세요. - Don’t let the noise of others’ opinions drown out your own inner voice.
다른 사람들의 의견이라는 소음이 당신 안의 목소리를 삼켜버리게 하지 마세요. - And most important, have the courage to follow your heart and intuition.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당신의 마음과 직관을 따를 용기를 가지는 것입니다. - They somehow already know what you truly want to become.
그것들은 이미 당신이 진정으로 무엇이 되고 싶은지를 알고 있습니다. - Everything else is secondary.”
나머지 모든 것은 부차적인 것입니다.
간디
- “Confession of errors is like a broom which sweeps away the dirt and leaves the surface brighter and clearer. I feel stronger for confession.”
실수에 대한 고백은 먼지를 쓸어내는 빗자루와 같아서, 표면을 더 밝고 맑게 만든다. 나는 고백을 통해 더 강해진다.
동기부여 마피아
- A true leader is not the one with the most followers, but one who creates the most leaders.
진정한 리더는 가장 많은 추종자를 가진 사람이 아니라, 가장 많은 리더를 만들어내는 사람이다.
Zig Ziglar
- I’ve got to say no to the good so I can say yes to the best. – Zig Ziglar
최고를 선택하기 위해 나는 좋은 것에는 ‘아니오’라고 말해야 한다. – 지그 지글러
윈스턴 처칠
- Courage is what it takes to stand up and speak.
Courage is also what it takes to sit down and listen.
– Sir Winston Churchill
용기란 일어나 말할 수 있는 힘이며,
또한 앉아서 귀 기울일 수 있는 힘이기도 하다.
– 윈스턴 처칠
마하트마 간디
- “Power is of two kinds. One is obtained by the fear of punishment and the other by acts of love. Power based on love is a thousand times more effective and permanent than the one derived from fear of punishment.”
– Mahatma Gandhi
권력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처벌에 대한 두려움으로 얻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사랑의 행위로 얻는 것이다. 사랑에 기반한 권력은 처벌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권력보다 천 배는 더 효과적이고 지속적이다.
– 마하트마 간디
제리 가르시아, 그레이트풀 데드
- “Somebody has to do something. It’s just incredibly pathetic that it has to be us.”
– Jerry Garcia, The Grateful Dead
누군가는 무언가를 해야 해. 문제는, 그게 우리가 되어야 한다는 게 정말 안타까운 일이지.
– 제리 가르시아, 그레이트풀 데드
March of the unqualified
- YouTube
www.youtube.com
Announcements 공지사항
- 이번 주 과제는 HiSNET 공지사항을 꼭 확인하세요.
728x90
'한동대학교 > E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7주차 1차시 (0) | 2025.04.14 |
---|---|
[EAP] 6주차 2차시 (0) | 2025.04.14 |
[EAP] 6주차 1차시 (0) | 2025.04.07 |
[EAP] 5주차 2차시 (0) | 2025.04.07 |
[EAP] 5주차 1차시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