멈추지 않는 기록

[EAP] Chapter 1 요약 – The Discipline of Self-Awareness 본문

한동대학교/EAP

[EAP] Chapter 1 요약 – The Discipline of Self-Awareness

pangil_kim 2025. 4. 25. 17:47
728x90

1. The Discipline of Self-Awareness

  • 핵심 개념: 자기 인식은 리더십의 핵심이다. 자기 자신을 이해하지 못하면, 사역은 방향을 잃게 된다.
  • Harold 사례: 성공적인 사역자였지만 마이크로매니징과 책임 회피로 인해 신뢰를 잃고 교회를 떠나게 됨.
  • Jim 사례: 우울과 탈진을 인정하고 안식년을 갖고 자기 탐색에 들어간 후, 건강한 리더십을 회복함.
  • 적용 포인트: 자기 인식은 자신의 감정, 동기, 반응, 습관을 의도적으로 성찰하는 과정이며, 이를 통해 리더는 자기 안의 무의식적 힘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다.

2. The Self-Awareness of Biblical Leaders

  • 핵심 개념: 성경 속 위대한 리더들도 자기 인식을 통해 사역을 감당했다.
  • David: “여호와의 기름 부음 받은 자”로서의 정체성을 통해 하나님과의 특별한 관계를 유지하고 죄를 인식함.
  • Paul: 유대적 배경, 열정, 회심 경험을 자아 통합의 요소로 받아들이며 선교적 리더십을 발휘함.
  • Jesus: 유년 시절부터 자기 인식을 키워가며, 사역 중 점진적으로 자신의 메시아적 정체성을 확립함.
  • 적용 포인트: 부르심, 정체성, 자기 탐색은 리더십의 영적 기반이며, 자기 인식은 예수님의 리더십에서도 핵심이었다.

3. Digging into Who You Are

  • 핵심 개념: 자기 인식은 과거의 경험, 특히 원가족과의 관계를 돌아보는 깊은 탐구에서 비롯된다.
  • 원가족의 영향: 인간관계 방식, 갈등 해결, 권위에 대한 반응 등 대부분이 초기 가족 경험에서 비롯됨.
  • Billy 사례: 비판을 받으면 분노하던 이유가 어린 시절 체벌과 수치심에서 기인한 두려움 때문임을 상담을 통해 인식.
  • 적용 포인트: 과거를 성찰해야 비로소 현재를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으며, 리더는 이를 통해 자기반응이 아닌 자기선택으로 행동할 수 있게 됨.

4. Your Blessing — or Not

  • 핵심 개념: 축복받은 자녀의 경험은 무조건적 사랑과 수용, 정체성과 자존감의 기반이 된다.
  • Sheri 사례: 어머니의 인정을 갈망하며 과도하게 일하고 번아웃됨. 상담을 통해 인정 욕구의 뿌리를 인식함.
  • Jerry 사례: 아버지의 축복 결핍 → 권위에 대한 반항 → 조직 내 리더와 갈등.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고 반복된 실패.
  • 적용 포인트: 축복의 유무는 리더십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이를 성찰함으로써 건강한 동기와 사역을 정립할 수 있음.

5. Your Hidden Addictions and Compulsions

  • 핵심 개념: 중독과 강박은 인정 욕구, 외로움, 친밀감 결핍 등의 감정적 공허에서 비롯되며, 종종 원가족 배경과 관련된다.
  • Fred 사례: 사람들의 기대에 반응하려다 일 중독과 폭식에 시달림. 상담과 코칭을 통해 회복의 리듬을 회복함.
  • 적용 포인트: 자기 인식 없이는 중독은 통제할 수 없으며, 영적 조직조차 잘못된 강박을 ‘축복’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철저한 자기 점검이 필요함.

6. Your Boundaries — or Lack of Them

  • 핵심 개념: 건강한 경계는 자아와 타인을 구분짓는 울타리이며, 리더십의 정서적 균형에 핵심적이다.
  • 경계 유형:
    • 순응형(Chloe): 거절 못하고 분노 내면화 → 번아웃 위험.
    • 회피형(Eugene): 고립과 단절 → 관계 실패.
    • 지배형(Alan, Sandra): 공격적 또는 수동적 방식으로 타인을 조종.
    • 무반응형: 타인의 필요에 반응하지 않음 → 사역에서 단절됨.
  • 적용 포인트: 자기 인식과 책임 구조를 통해 건강한 경계를 회복할 수 있으며, 리더의 경계 문제는 공동체 전체에 영향을 준다.

7. Personal Markers

  • 핵심 개념: 부르심, 재능, 성향, 인생 사건들은 리더의 정체성과 방향을 형성하는 중요한 개인적 표지들이다.
  • 부르심(Call): 사역의 본질적 의미이며, 단순한 직무나 보상과는 무관한 영적 소명.
    • Jordan 사례: 부르심을 무시하고 사역을 떠났지만, 결국 다시 자신의 부르심에 합당한 자리로 돌아옴.
  • 하나님이 주신 재능: 자기 강점을 인식하지 못하면 불필요한 실패를 경험할 수 있음.
    • Walt 사례: 과한 승진을 수용했다가 역량 초과로 실패.
  • 인지 스타일: 리더의 사고 방식은 리더십 스타일에 영향을 주며, 타인의 다름을 존중하기 위해 자기 스타일 인식이 중요함.
  • 인생의 주요 사건들:
    • Ruth 사례: 반복된 관계 실패의 원인을 외부 탓으로만 돌리다 자기 기여를 인식하면서 성숙함.
  • 적용 포인트: 리더는 자기 삶의 경험들을 분석하며, 하나님이 어떻게 마음을 다듬으셨는지를 인식하고 사역의 의미를 확장시킨다.

8. The Dark Side of Being a Leader

  • 핵심 개념: 모든 리더는 어두운 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인식하지 못하면 리더십 전체를 오염시킬 수 있다.
  • 다섯 유형의 어두운 면 (McIntosh & Rima):
    • 강박형: 완벽주의, 비판적 성향
    • 자기애형: 인정 욕구, 사람 이용
    • 편집형: 과도한 의심, 통제
    • 공동의존형: 남을 도우며 자신을 증명
    • 수동-공격형: 저항을 수동적으로 표현, 조직 내 긴장 유발
  • Hal 사례: 감정 폭발, 완벽주의, 과장된 반응을 인식하고 책임 구조를 통해 변화 시작.
  • Noah 사례: 공동체가 리더의 어두운 면을 오히려 조장함 → 변화를 막음.
  • 적용 포인트: 자기 어두운 면과 친숙해지는 것이 빛으로 가는 유일한 길이다.

9. The Price of Lack of Self-Awareness

  • 핵심 개념: 자기 인식의 부족은 리더를 두 가지 방향으로 만든다.
    • 속 빈 리더: 타인의 기대에 휘둘리며 진정성 없는 리더.
    • 자기중심적 리더: 오직 자신만의 감정, 인정, 시선에만 관심.
  • 결론: 자기 인식은 자동으로 생기지 않으며, 의도적 탐색과 훈련이 필요하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수 있다.

✅ 결론:

Chapter 1은 “자기 인식(self-awareness)”이 리더십의 본질이라는 사실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자기 인식은 단순한 자기 이해를 넘어, 과거 탐색, 감정 인식, 관계 패턴 점검, 중독과 강박의 뿌리 찾기, 사명의 정렬을 모두 포함한다.

위대한 리더는 자신을 깊이 이해한 사람이다. 그 여정을 시작하는 데 너무 늦은 때란 없다. 그리고 지금이 시작하기에 가장 좋은 때다. 💡

728x90

'한동대학교 > EAP' 카테고리의 다른 글

[EAP] 11주차 2차시  (1) 2025.05.15
[EAP] 10주차 1차시 (self-management)  (0) 2025.05.06
[EAP] Chatper1 : 자기 인식의 훈련  (0) 2025.04.25
[EAP] 8주차 1차시  (0) 2025.04.23
[EAP] Oral Test 준비  (0) 2025.04.17